해외선물, 가장 중요한 리스크 관리 (미국 경제 정복하기 실전편)

– 시드, 리스크, 그리고 수익을 키우는 실전 전략


해외선물 시장은 작은 돈으로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있는 만큼,

순식간에 계좌를 잃는 사람도 많은 고위험 고수익 시장입니다.

하지만 이 시장의 본질은 '위험한 시장'이 아니라

"리스크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완전히 다른 결과가 나오는 시장"**입니다.


이 글에서는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,

해외선물의 구조와 시드의 역할, 리스크 관리의 원칙,

그리고 시드를 키워가며 어떻게 하루 수백만 원에서 수천만 원까지 수익을 키워갈 수 있는지

논리적이고 현실적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.


1. 해외선물의 구조: 기회를 줄 수도, 치명타를 줄 수도 있다

해외선물은 '레버리지'라는 강력한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.

예를 들어, 국내 거래소 기준으로 마이크로 나스닥 선물(NQM25)은 1계약당 증거금 약 30만 원이며,

한 계좌당 최대 10계약까지만 보유할 수 있습니다.


단순 계산으로 보면 300만원만 있어도 10계약을 잡을 수 있고,

단 하루에 몇 백만 원을 벌 수도 있습니다.


하지만 문제는 그만큼의 손실도 순식간에 발생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.


2. 초보자가 빠지는 착각: “오르면 대박, 떨어지면 손절?”

많은 초보자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:


“이건 느낌이 오니까 질러야 해.”

“이번엔 100틱만 먹으면 수익률이 30%야.”

“10계약 넣고 한 번만 먹고 나올게요.”


하지만 중요한 건 진입이 아니라, 생존입니다.


이 시장은 한 번의 실수로도 계좌의 절반이 날아갈 수 있고,

그 이후엔 기회 자체가 사라지는 구조입니다.

그래서 진짜 중요한 건…


"틀렸을 때 얼마나 덜 잃느냐",


"그걸 몇 번이나 견딜 수 있느냐" 입니다.


3. 리스크 관리의 핵심: 자산 대비 손실 비중은 4~5% 이내

해외선물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가장 현실적인 원칙은 바로 이겁니다:


“한 번의 거래에서 감수할 수 있는 최대 손실을

총 자산의 4~5% 이내로 제한하라.”


예를 들어볼게요:

(당시 환율 변동성에 따라 원화가 다른 점 양해부탁드립니다)

총 자산(시드)이 500만 원이라면


한 번의 거래에서 감수할 수 있는 손실은 20만~25만 원 이하


손절 기준을 100틱으로 잡았다면 → 약 2계약이 최대 진입 수량


이 기준이 중요한 이유는 명확합니다.


✅ 1~2번 틀려도 계좌 전체가 흔들리지 않음


✅ 심리적으로 조급해지지 않음


✅ 복구 가능한 구조 속에서 계속 기회를 만들 수 있음


반대로 리스크 비중을 10%, 20%씩 잡으면

2~3번만 틀려도 계좌가 반토막 납니다.


👉 한 번에 많이 벌려고 하지 말고,

계좌를 오래 유지하는 데 집중하세요.

그러면 수익은 자연스럽게 따라옵니다.


4. 시드는 계약 수가 아니라 ‘버틸 수 있는 힘’이다

많은 분들이 시드를 단순히 계약 수를 정하는 기준이라고 생각합니다.

하지만 더 중요한 본질은 이겁니다:


"시드는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손실의 크기를 정해주는 체력이다."


같은 1계약, 같은 손절을 하더라도

사람마다 느끼는 고통과 계좌 타격은 전혀 다릅니다.

(당시 환율 변동성에 따라 원화가 다른 점 양해부탁드립니다)

✔️ 시드 300만 원 → 100틱 손절 시 약 -20만 원 손실 (약 -6.6%)

✔️ 시드 3,000만 원 → 동일 손절 = 약 -0.66%


이처럼 시드가 크면 더 안전하게, 오래 버티며, 복리 구조를 누릴 수 있습니다.


5. 확신이 들었을 때일수록, 진입보다 계산이 먼저다

트레이딩을 하다 보면

뉴스, 차트, 지표, 흐름이 전부 맞아떨어지는 순간이 옵니다.

“이번엔 진짜 확실하다”는 느낌이 들 때 말이죠.


그럴수록 우리는 이렇게 행동해야 합니다:


“진입하기 전에, 이번 거래에서 내가 감수할 수 있는 손실이 얼마인지 먼저 계산하자.”


이 질문에 답하지 못한 채 들어가는 건 감정이고,

계산을 마친 뒤 진입하는 건 전략입니다.


📌 반드시 체크해야 할 3가지:


손절 기준은 명확한가? (틱 수, 금액 기준)


계좌 전체에서 이번 거래가 차지하는 위험 비중은 4~5% 이내인가?


틀렸을 때 회복 가능한 구조인가?


6. 시드를 키우면 수익도 자연스럽게 커진다

시드를 키운다는 건 ‘더 무리한 베팅을 할 수 있다’는 의미가 아닙니다.

오히려 ‘같은 전략으로도 수익이 더 커지고, 위험은 더 작아지는 구조’**를 만든다는 뜻입니다.


📊 현실적인 예시 (국내 거래소 기준, 최대 10계약):


시드  계약 수  100틱 수익 시  자산 대비 수익률

300만 원              1계약  약 20만 원  약 6.6%


1,000만 원  3계약  약 60만 원  약 6.0%


3,000만 원  5계약  약 100만 원  약 3.3%


5,000만 원  10계약  약 200만 원  약 4.0%


👉 시드가 크면 계약 수를 늘리지 않아도 안정감 있게 복리 수익을 쌓아갈 수 있습니다.


7. 결론: 겁먹지 말고, 구조를 만들자

해외선물은 위험한 시장이 아닙니다.

리스크를 통제하지 않으면 위험한 시장이 되는 것뿐입니다.


당신이 해야 할 일은 겁먹는 것이 아니라, 구조를 만드는 것입니다.


✔️ 처음엔 시드에 맞춰서 시작하세요.

✔️ 수익이 쌓이면 시드를 늘리고, 계약 수를 천천히 늘리세요.

✔️ 어떤 상황에서도 손절 기준과 4~5% 리스크 한도는 지키세요.

✔️ 그리고 절대 한 번의 ‘확신’에 모든 걸 걸지 마세요.


그렇게 꾸준히 구조를 지키면서 시드를 키워간다면,

**하루 수백만 원, 수천만 원의 수익도 ‘현실적인 가능성’**이 됩니다.


✅ 마지막으로 기억할 한 문장

해외선물에서 이기는 사람은

더 많이 맞히는 사람이 아니라,

틀렸을 때도 살아남는 사람입니다.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해외 선물 보조 지표 설정법

MACD 골든크로스 정복하기

MACD 데드크로스 정복하기